728x90

여러분들은 혹시 건물 내 설비나 장비 그리고 구조물등 각종 시설물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시나요? 보통 육안점검 및 간단한 측정장비를 통한 온도측정 또는 비접촉식 적외선온도계를 활용하여 대략적인 정보를 얻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문제부위 확인만 가능할뿐 정확한 원인파악 과 대책수립 은 불가능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좀더 정밀한 검사방법 을 통해 현장상태 를 진단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것이 바로 열화상카메라 라고 할수 있습니다. 

열화상카메라는 우리가 눈으로 볼수없는 물체의 표면온도 를 보여주는 장비 입니다. 쉽게 말해서 카메라 렌즈 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 화면 으로 보면서 해당 지점의 온도분포 상태를 알수있는 장치 인데요. 기본원리는 이렇습니다. 카메라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는데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시켜 표시합니다. 만약 정상적인 작동조건 이라면 디스플레이상 에 보여지는 모든 색상은 균일해야만 합니다. 반대로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색 분포가 왜곡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이것을 통해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 이나 결함여부 를 판단할수 있게 됩니다. 

전기 점검시에 열화상 점검을 이제 필수로 하게 되었는데요

점검예를 다음과 같이 사진으로 올려드립니다...

 

728x90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류형 퓨즈 융단시  (0) 2023.10.09
G-type 계량기 선 연결  (0) 2023.10.09
자가용 정기검사  (0) 2023.10.09
전기안전관리 점검 내용  (0) 2023.10.09
차단기 AT, AF  (0) 2023.10.09
728x90
  1.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전선의 허용전류는 도체가 정상상태에서 도체의 온도가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도체에 연속적으로 흘릴 수 있는 최대전류이다.
즉,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Joule열(H= 0.24Ⅰ²R t ㎈)이 발생한다. 

그 전류를 연속적으로 흘리거나 증가하여 발생한 발생열과 방산열의 차에 의한 온도상승 으로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이상이면 전선의 절연피복이 열화, 손상되어 지락 및 단락사고로 파급될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의 종류, 배선공사 방법 및 주위온도에 따라 각각 안전하다고 간주되는 전류의 크기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 안전전류가 허용전류이다.

절연물의 종류 전선 종류 허용온도(℃)
PVC 450/750 비닐절연전선, VV Cable 70
XLPE, EPR HFIX, EPR, F-CV, FR-8 Cable 90
무기물(접촉우려 있음) MI Cable 70
무기물(접촉우려 없음) MI Cable 105

[표 1] 절연 형태별 최고사용온도

2. 전압강하
허용전류에 의한 전선의 굵기가 선정(필요조건)되면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전선의 굵기 (충분조건)를 결정하여야 한다.
(1) 전압강하란?
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선의 임피던스로 인하여 부하측(수전단)전압이 감소한다. 이를 전압강하라 한다. 전압강하가 작을수록 그 배선은 전기적 특성이 좋으나, 도체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경제성이 저하하므로 전기적인 특성과 경제성의 양면에서 전체적인 특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2) 수용가 설비의 인입구로부터 기기까지의 전압강하는 표 5-2의 값 이하이어야 한다.

설비의 유형  조명(%) 기타(%)
A -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3 5
B - 고압 이상으로 수전하는 경우a 6 8

[표 2] 허용전압강하 (KEC 표 232.3-1)
a:가능한 한 최종회로 내의 전압강하가 A 유형의 값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배선설비가 100 m를 넘는 부분의 전압강하는 미터 당 0.005% 증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증가분은 0.5%를 넘지 않아야 한다.
예) B-조명의 경우 200 m가 넘어도 허용전압강하는 6.5 % 이하이다.
  

728x90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 각도별 효율  (0) 2023.10.07
누설전류  (0) 2023.10.07
KEC 전선굵기 허용전류 차단기용량  (1) 2023.10.06
KEC 적외선 열화상 측정  (0) 2023.10.06
발전기의 점검(kec)  (1) 2023.10.06
728x90

*  현장의 허용전류 적용 방법
(1) 저압 배선설비용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최고허용온도 적용
      ① 70 ℃(일반전선) 적용
           450/750V 비닐절연전선(NR), 450/750V 고무절연전선
      ② 90 ℃(내열전선) 적용

           가. 450/750V 저독성 난연폴리올레핀절연전선(HFIX):XLPO 절연체

            나. 0.6/1 kV 난연성 CV케이블(F-CV, FR-CV, TFR-CV):XLPE 절연체

            다.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PNCT) :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절연체

            라. 내화케이블(FR-8) : 무기물인 유리섬유편조에 XLPE 절연체로 이에 해당됨.

* 시설상태별 공사방법의 선정
  - 허용전류를 구하기 위한 공사방법


① A2 ≤ A1 ≤ B2 ≤ B1 ≤ C ≤ D1 ≤ D2 ≤ E ≤ F ≤ G 크기의 허용전류 적용을표기하고 있으며, 

     전선(도체)의 같은 단면적에서 열을 가장 많이 축적하는 A의 허용전류가 가장 적으며,

      순서대로 기중 노출 가공전선인 G가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② 전선관 및 금속덕트 공사는 B1(절연전선 및 단심케이블), B2(다심케이블) 적용 - 보통 특별한거 아니면 B1,B2로 함
③ 케이블트레이공사는 E(다심케이블), F(단심케이블) 적용

-> 옥내 배선 설비에서 전선관 및 금속덕트 공사는 모두 B, 케이블트레이 공사는 E,F,지중 매설한 전선관은 D1적용

※ 검사기준에서는 기중옥외 40℃, 기중옥내 30℃, 지중 20℃를 기준온도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기중 40℃, 

지중 30℃로 설계한 경우는 검사기준을 만족하며, 주위온도는 시공현장의 온도를 감안하여 선택할 수 있다.

***********유용한 사이트 링크를 소개한다.*******************

https://www.kes.go.kr/web/lay1/program/S1T249C255/EE/TC/cablDsgn.do

 

전기안전종합정보시스템

처리중입니다.잠시만 기다려주세요.

www.kes.go.kr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 이때, 위와 같이 설정하되 

차단기 정격전류, 공사방법, 주위온도, 전선(케이블)단면적 4가지만 상황에 맞춰서 설정해 주면

이런 결과가 나온다....

정리하면, 

공사방법은 1core이면 B1, 2core이상 이면 B2로 하고

검사기준 기중옥외 40℃, 기중옥내 30℃, 지중 20℃를 기준온도 로 설정하며 절연체는 HFIX, CV전선등 안에

흰색도체가 있으면 XLPE이고, 나머지 비닐전선이나 HIV등은 PVC이다.거리는 대략 20m로 한다.

차단기는 15,20,30,40,50,60,75,100,125,150,175,200,225,250,300A 차단기가 있으니 참고바란다.

728x90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설전류  (0) 2023.10.07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 전압강하  (0) 2023.10.06
KEC 적외선 열화상 측정  (0) 2023.10.06
발전기의 점검(kec)  (1) 2023.10.06
고압 전기 설비의 점검 방법(KEC)  (1) 2023.10.06
728x90

적외선 열화상 측정의 이해 적외선 열화상을 측정하는 목적은 활선 상태에서 전력 설비의 사고
원인이 되는 발열부 이상 온도를 조기에 발견하여 대처하기 위함입니다
절연 불량, 접속 불량, 과부하에 의한 발열 여부를 확인하고
기기 내부의 이상 상태나 기기 전체의 열화상 또는 은폐
기기의 국부 발열을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습니다
열화상 카메라의 종류는 온도 검출 범위, 사용 목적, 센서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전자기파는 감마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라디오파가 있습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마이크로 웨이브보다 짧은 대역의 전자파를 의미하며
절대온도 섭씨 영하 273도씨 이상의 온도를 가지는 모든 물체는 적외선 영역의 광선을 방출합니다
열화상 카메라는 근적외선,
중간적외선, 원적외선 중에서 중간적외선을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열화상 카메라의 측정 원리는 비접촉식으로 대상 물체의 온도 분포를 보여주는 장비로써
물체의 표면 온도에 따라 방출되는 적외선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열화상으로 표출됩니다
적외선으로부터 감지되는 주파수 반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람이 실제로 볼 수 있는 이미지로 형상화하는 것입니다
열화상 카메라는 수천에서 수만 개 이상의 적외선 온도계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과 원리가 같습니다
적외선 온도계는 레이저 조준점 주변의 평균 온도가 측정되며
거리가 멀수록 넓은 면적의 평균 온도가 측정되므로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열화상 카메라의 측정의 활용 범위는 수전 설비 및 구내배전 설비의 발열을 측정합니다
고압기기, 개폐기 접촉부의 이상 발열, 케이블 터미널 압착 불량,
볼트 조인 분량 등에 의한 발열 등을 측정하는 데 활용합니다
조명 기구의 발열 및 과부하에 의한 발열을 측정합니다 
열화상 카메라 측정 온도의 판정 방법은 삼상 비교법과 온도 패턴법이 있습니다
삼상 비교법은 삼상평형부하,
동일한 전선의 굵기 등 동일 조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판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점의 정확한 온도보다는 비교하고자 하는 측정점 간의 온도차를 중요시합니다
온도차에 따른 판정 기준은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온도 패턴법에 의한 열화상 카메라 특정 온도 판정은 절연제
열화 개념에서의 판정 기준으로 측정 당시의 부하율, 주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기기별 최고 허용 온도를 초과하거나 온도 상승 한도를 초과한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합니다


예를 들어 겨울철 주의 온도가 0도씨일 경우 유입 변압기의 온도가 60도씨이면 최고 허용
온도는 90도씨 미만이지만 온도 상승 한도는 50도씨를 초과하였으므로 부적합 대상이 됩니다
열화상 카메라 사용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체는 종류 및 표면 상태에 따라
적외선 방사율이 다르기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한 온도는 물체의 겉보기 온도로
실제 온도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크릴 보호 커버로 가려진 경우 가시광선은 잘 통과하지만
적외선은 거의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분전반, 수배전반 촬영 시
아크릴 보호 커버를 제거하고 촬영하여야 합니다
외부에서 전기설비 열화상 촬영 시 햇빛 반사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그늘진 곳에서 촬영하거나 야간에 촬영해야 합니다
습기 제거용 히터, 배결 전구 등 열을 많이 발생하는 열원이 주변에 있을 경우 대류, 전도,
복사 등에 의한 온도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발열 확인시는 부하 전류, 촬영각도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 등 여러 정황을 고려하여 판정합니다
촬영은 활선 상태에서 실시하므로
고압 모선 또는 충전부 주변의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열화상 카메라 측정의 장점은 사용 중인 전기설비 발열 상태를 시각적인 온도 분포로 분석하여
전기 설비의 이상현상으로 인한 과열 개소를 조기 발견할 수 있습니다
화재, 기기의 소손 등 중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과부하 및 접촉불량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방보전에 의한 돌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특정 기록을 바탕으로 설비의 수명을 예측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측정 

유입 변압기는 대류현상에 의해서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10도시 이상까지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입 변압기의 열화상 측정 포인트는 고저압 측 애자 부싱 부위,
외함 온도 분포 측정, 내부 오일 온도 측정 등입니다
리액터의 열화상 측정 포인트는 권선 및 철심 부분의 발열 여부를 측정하고
접속 단자 부분의 발열을 측정합니다
콘덴서용 직렬 리액터는 전류가 상시 흐르고 있으므로 일반 전력기기에 비해 발열이 심한 편입니다
특히 철심 상단 부분은 100도씨 이상까지 측정됩니다
삼상 리액터의 가운데 코일은 양쪽 코일보다 열방출 단면적이 적으므로
온도가 약간 높게 측정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삼상 비교법 적용시 주의해야 합니다
전신주의 변압기의 열화상 측정 포인트는 해당 변압기의 부하 상태를 확인해서
과부하로 인한 발열 등을 종합적으로 판정합니다


배선용 차단기의 열화상 측정 포인트는 단자 부분의 접촉불량
또는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된 단상 부하의 영향으로 한상이 과열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정합니다
동일한 굵기의 전선에서 3상 비교법으로 SP1과 SP3의 온도가 10°C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부하 전류를 확인해야 합니다
단자대 부분에서 국소발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볼트 조임 및 압착
터미널 러그의 압착 상태 분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접속 단자대 고정 볼트가 변색 및 과열이 확인되었습니다


드라이버로 활선 상태에서 볼트를 조일 경우 위험할 수 있으며,
절연 캠 내부 터미널까지 열에 의한 부식이 의심됩니다
사진은 변압기 부식 및 접속부에서의 발열 현상입니다


동일한 조건 및 환경에서 어느 한 상만 온도가 높게 특정되고 있습니다
그 부분에서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국부 부식에 의한
저항열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나사 조임이 느슨하여 접촉불량에 의한 발열일 수 있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천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전선 접속함
내, 접속점 및 관로의 발열 상태를 점검합니다


천장에 백열전구 또는 고위도 방전램프가 있는 경우 반사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촬영
각도 등을 조정하여 촬영하거나 일시적으로 조명을 끄고 촬영합니다
일반적으로 몰드 변압기는 경부화 또는 무부화 상태여도 맴돌이 전류 손에 의하여 철심
상단부의 온도가 100도씨 이상까지 측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각상의 안쪽 코일이 저압부이고 바깥쪽 코일이 고압부입니다
저압코일이 고압코일보다 전류가 많이 흐름으로 동손,
즉 부하손에 의한 발열은 대부분 저압코일에서 발생함으로
열화상촬영 시 내부 코일 측에서 높은 온도가 관측됩니다
5개 큐비클 내부 벽면에 설치된 습기 제거용 히터에 의한 발열 상태가 측정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내부에서 발열 시 적에서는 금속판을 투과하지 못함으로
큐비클 문을 열고 내부를 촬영해야 합니다
피뢰기 내부 열화가 진행될 경우
누설전류 증가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면에 제시된 3상 피뢰기 중 2상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므로
각 상의 피뢰기 접지선의 누설전류 및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피뢰기 열화 유무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의심 대상 필요기가 부적합으로 판정되면 3상 모두 교체를 합니다


옥외 수전설비 계패기 접촉 부분 1상에서 온도가 높게 측정되고 있습니다
접촉부에서 국소발열이 발생하는 경우 정전을 시키고 접촉부 표면 오염,
부식, 손상 상태, 또는 스프링 상태 등을 점검합니다

수배전 설비의 열화상 측정 방법입니다. 

케이블 헤드 및 접속부,
각 상의 발열 상태 등을 점검합니다 
퓨즈링크 접촉부는 모선과 1차, 2차의 접속부 발열을 점검합니다 
단자대 접속 부분에서의 국소발열 및 MOF의 발열 등을 점검합니다 

단자대 접속 부분의 국소발열 및 PT의 발열 등을 점검합니다 
단자대 부분의 국소발열 및 SA, CT의 ACB의 각상 발열을 점검합니다
변압기 부식 및 단자대, 상별 발열 등을 점검합니다
ACB 단자, 부스바 및 기기에서의 발열을 점검합니다
습기 제거용 히터에 의한 배전반내 배선 및 기기 발열에 영향을 주는지 점검합니다
MCC-B의 몸체, 단자대, 부스바 등의 발열을 점검합니다

 

728x90
728x90

1. 발전기 점검의 이해
발전기를 점검하는 목적은 소방관련 부하설비,
비상엘리베이터, 비상조명 설비 등 비교적 큰 용량의 전력 부하
설비에 대한 최소한의 보안 전력을 확보하고
상용 전원의 정전 시 예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발전기를 연료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디젤 발전기, 가솔린 발전기,가스터빈 발전기, 스팀터빈 발전기가 있는데요
이 중에서 디젤 발전기의 점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전기 점검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축전지 근처에서의 화기 사용 시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절대 금해야 합니다
그리고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 시 엔진을 정지한 다음 주입해야 하며,
냉각수 캡이나 밸브를 열 때는 폭발 위험이 있으니 엔진 가동 전 냉각수를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엔진 동작 중에 축전지 터미널을 탈과하면 내부 PCB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발전기 점검 방법
엔진과 발전기의 기본사항 점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엔진입니다
엔진은 엔진의 형식, 정격 용량과 RPM, 제조회사와 제작 번호,
그리고 기동 방식의 확인, 엔진의 냉각 방식이 공냉식인지 순행식인지,
축전지의 기동 방식과 발전기와 결합된 차단기가 ACB인지 MCCB인지를 확인합니다
이러한 사항들은 엔진의 명판과 기능,
그리고 차단 장치에 기록되어 있으니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발전기는 발전기의 형식, 전격 용량과 RPM, 제조회사와 제작 번호,
정격전압, 정격전류, 역률 등을 확인합니다
발전기는 발전기 항목을 점검하고, 절연저항과 접지저항을 측정하고,
시운전을 통해 그 상태를 점검하게 되는데요

발전기 가동시 강한 바람으로 팬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연료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연료를 충분히 비축해야 합니다
엔진 냉각수 부족시 과열될 수 있으므로 냉각수 양을
확인합니다

배출가스가 역류 또는 체류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가스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면 유해가스,
산소 부족 등의 영향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전기 운전 전후 엔진 부분의 누유 여부를
확인합니다
축전지 전압이 정상 범위에 있는지 점검하고
전압이 낮을 경우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확인합니다

- 이때 출력전압이 낮으면 교체해야 됩니다. 또한 열화상으로 배터리 보고 상태를 확인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가스가 새고 있는 시점에 기동시 폭발할 수 있습니다.

발전기 운전반의 압력, RPM, 윤활유 온도, 냉각수 온도 등의 정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엔진 오일의 양, 빛깔,점도 등의 상태를 점검하고, 매뉴얼에 준해서 교체 시 또한 발전기의 펜
벨트는 눌러서 장력 및 외형 상태를 점검합니다
축전지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성능의 현저한 저하가 판단되면 교체해야 합니다
축전지의 충전 상태 표시창을 점검합니다 ATS의 조작 방법은 정전 시 자동으로 절체되지 않을 경우
캠 스위치로 수동 절체합니다
캠 스위치로 절체가 안 될 경우에는 ATS에 부착된 손잡이 또는 조작봉을 이용하여 절체합니다
발전기 권선에서 발전기용 ACB 1차 측까지의 절연저항 측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본 작업은 안전을 위해 반드시 발전기 운전 모드를 수동 상태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500V 절연저항계를 사용합니다
측정 전 N상 접지선을 분리합니다 발전기용 ACB가 개방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절연저항계 흑색 리드선을 제3종 접지선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은 ACB
1차 부싱 도체 부분에 접촉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첫 번째, 발전기 운전반 ACB는 개방된 상태에서 측정합니다
두 번째, 발전기 중성점 접지선을 분리합니다
세 번째, 절연저항계 흑색 리드선을 제3종 접지선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은 발전기 출력 단자대 A, B, C, N상을 교대로 접촉하여
절연저항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발전기의 접지저항 측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접지단자함의 접지극과 발전기 간의 연결
부스 바를 분리합니다 측정하고자 하는 발전기 접지극에 E단자 리드선을 연결합니다
두 개의 보조 접지극에 P단자 리드선과 C단자 리드선을 연결합니다
접지저항계의 측정 사용 위치로 레인지를 고정한 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첫번째, 접지단자함의 발전기 접지극과 발전기관의 연결 부스바를 분리합니다

두번째, 발전기 접지극의 E단자를 연결하고 P단자와 C단자를 보조 접지극에 연결합니다

세 번째, 접지저항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시운전방법~~~!!!!

먼저 발전기 운전반에서 수동 모드로 전환합니다
두 번째, 발전기 시동 버튼을 눌러 가동했을 때의 전압,주파수 등을 점검합니다
세 번째,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시동되는지를 점검합니다
발전기 계기판의 윤활류 압력, 엔진 회전수, 윤활류 온도, 운전 시간,냉각수 온도 등을 점검합니다
네 번째, 정지 버튼을 눌러 발전기 운전을 정지시킵니다
점검 후 발전기 운전반의 자동 버튼을 눌러 비상 시 자동 운전 될 수 있도록 합니다
비상 정지 시에는 발전기 운전반 패널 전면부의 비상 버튼을 누르면 발전기를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특고압 전기설비의 절연저항 측정 

특고압 전기설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목적은 절연저항 점검 결과를 토대로 기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전기기기의 열화 예측 및 절연저항 저하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특고압 절연저항은 전기기기의 소손 및 정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그 의미가 있습니다
절연저항의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반드시 정전 후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중성선을 포함한 모든 선을 전원 측에서 분리하고,
측정 대상 전기기기의 접지선을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절연저항계의 흑색 리드선을 접지단자 또는 큐비클 등 접지된 금속체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을 측정 전류에 접촉하여 측정합니다
측정 후 방전을 실시합니다 절연저항계를 사용할 경우 다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고압 설비 측정 시에는 안전장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활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전을 실시하고,
잔류 전화를 방전합니다
측정 시에는 가압된 측정기 충전 전압에 감전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판정합니다
측정이 종료되면, 단락 접지 용구 및 개폐장치 등을 원상복구합니다

특고압 전기설비의 절연저항 측정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고압 설비 점검을 위한 정전 작업 순서입니다

1.분기개폐기 개방 후 ACB를 차단합니다 

2. VCB를 차단합니다 

3. 인입 개폐기를 차단합니다

4. DS봉을 이용하여 PT1차 파워 퓨즈를 개방합니다

5. 책임분개점 개폐기를 개방합니다

6. 접지용구로 잔류 전하를 방전시킵니다

분기 개폐기를 개방 후, ACB를 차단합니다
전원 메인 VCB를 차단합니다 인입 계패기 LBS를 차단합니다
DS봉을 이용하여 PT용 파워 퓨즈를 개방합니다 활선 여부 확인을 위한 검전 후,


잔류 전화를 방전시킵니다

- 책임분계점 2차, 인입케이블, LBS 1차의 절연저항 측정 방법.
절연저항계의 흑색 리드선을 제1종 접지선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을 LBS 1차 A, B,C상에 접촉시켜 절연저항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LBS 2차, MOF,VCB1차의 절연저항 측정 위치.
해당 모선과 연결된 LA, 피뢰기, PT용 파워퓨즈 1차까지의 절연저항이 측정됩니다


MOF 내부 PT 중성점이 O 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PTN상에 해당됩니다
가운데 그림처럼 MOF O 단자에 접지선이 연결되어 있으면
절연저항 측정에 영향을 주어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MOF O단자의 접지선을 분리해야 합니다

- PowerFuse 2차에서 PT1차의 절연저항 측정 방법
MOF O단자의 제1종 접지선을 분리합니다



절연저항계의 흑색 리드선을 제1종 접지선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을 LBS 2차 A, B,
C상의 교대로 접촉하여 절연저항계의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PT 중성점의 접지선이 연결되어 있으면 절연저항 측정에 영향을 주어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T 중성점 접지선을 분리해야 합니다

- PowerFuse 2차에서 PT 1차의 절연저항 측정 방법

PT 중성점 접지선을 분리합니다


절연저항계 흑색 리드선을 제1종 접지선에 연결하고, 적색리드선을 PT1차 A, B, C상을 교대로
접촉하여 절연저항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 VCB2차에서 변압기 1차의 절연저항 측정 방법

절연저항계의 흑색 리드선을 제1종 접지선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선을 VCB2차 A, B, C선을 교대로 접촉하여 절연저항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특고압 전기설비의 접지저항 측정

특고압 접지저항의 측정 목적은 전기설비의 신뢰도
향상 및 이상전압 발생 시 전력기기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특고압 접지저항의 의미는 특구압 기기 및 외압 등과 접촉했을 때 인체 안전을 확보하고
중성점 접지로 개통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특고압의 접지저항 측정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드시 정전 후 측정합니다
측정전 지전압을 확인하고 접지극과 보조 접지극을 가능한 한 수평이 되도록 배치하여
5M에서 10M 이상 유지합니다
특고압 접지저항 측정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접지단자암의 제1종 접지저항 측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본 작업은 안전을 위해 반드시 정전 작업 후 측정해야 합니다
접지단자암의 접지극과 기기 간의 연결


부스바를 분리합니다 측정하고자 하는 접지극에 2단자 리드선을 연결합니다
두 개의 보조 접지극에 P단자 리드선과 C단자 리드선을 연결합니다
접지저항계의 측정 사용 위치로 레인지를 고정한 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변압기 외함의 접지저항 측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본 작업은 안전을 위해 반드시 정전 작업 후 측정해야 합니다
두 개의 보조 접지극에 P단자 리드선과 C단자 리드선을 연결합니다
변압기 외함 접지선에 E단자 리드선을 연결합니다 접지저항계 측정 사용 위치로
레인즈를 고정 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MOF의 접지저항 측정 방법 알아보시겠습니다
접지단자함의 P단자와 C단자를 보조 접지극에 연결합니다
MOF까지 리드선을 연장하여 계측장비에 접속 후, E단자를 MOF 외함에 연결합니다
접지저항계 측정 버튼을 눌러 측정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