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 업체는 역률이 진상이 100% 지상인 85%나오는 업체에요
9시부터 23시까지는 지상을 보며 이후로는 진상으로 보통 보는데요
그냥 타이머없이 콘덴서를 설치하면 24시간 역률을 보상하기 때문에 낮에는 보상이 되었다가
밤에는 너무 보상이 되어서 진상이 안좋게 나왔습니다.
그래서 타이머를 마그네틱과 함께 설치하여 낮에만 역률 보상하도록 설치 하였습니다.

먼저 이렇게 콘덴서가 38A이기에 차단기는 60A로 마그네틱(G-MC)은 65A로 설치하였습니다.
그에 맞게 전선은 F-CV 16SQ로 조금 넉넉하게 준비하였습니다.
터미널은 16-8이 가장 좋은거 같습니다
물론 앞에 16은 전선 sq입니다. 전선따라 바뀌면 됩니다.
저는 동관 터미널로 했는데 한단계 낮은거로 하는게 좋은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선이 16sq이면 10-8터미널로~ 제 생각입니다.
뒤에 8은 배선용 차단기든지 마그네틱이든지 나사가 사이즈가 다른데 8로하면 둘다 다 맞습니다.
전선 선정 등 위와 같은 선정이유는 저의 다른 글을 참고 바랍니다.

혼자 설치하다보니 거의 3시간이 걸렸습니다.
힘들게 설치하였네요
마그네틱은 어짜피 붙으면 위아래 연결해주는 목적이니 저렇게 설치하였다고 의아해 하지 마세요
원리는 간단합니다. 타이머로 9시부터 23시로 맞춰놓고(바깥으로 벌려야 작동되는것입니다.)
그 시간에만 마그네틱을 붙여서 작동시킵니다.
간단한데 터미널을 22개를 연결하다보니 그게 오래걸렸습니다.
아차~! 그리고 마그네틱과 타이머 뒤에 보조대로
고정하는것을 "찬넬"이라고 합니다.
그것으로 고정하면 좋습니다.
찬넬에 차단기도 고정하고 싶으면
차단기는 찬넬 고정 보조대가 따로 있어야 됩니다.

세부사항은 아래그림을 참조해주세요^^
 

728x90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발전기 대략 유류 용량 크기  (0) 2023.11.03
파워퓨즈(PF) 비한류형 교체  (1) 2023.11.01
다운라이트 시공  (0) 2023.10.09
한류형 퓨즈 융단시  (0) 2023.10.09
G-type 계량기 선 연결  (0) 2023.10.09
728x90

지상과 진상 역률에 대하여.

1. 진상이란

-교류 전기에서 용량성부하(콘덴서 용량이 포함된 부하)에 의해 공급 전압 위상에 비해 소비전류 위상이 앞서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進上역률 : 전압보다 전류가 앞서가는경우다.즉,전압파형보다 전류파

형이 앞서는경우.

: 좀더구체적으로풀이하면 요량성(용량성부하)기기들을 많

이사용할경우 나 condenser를 과대하게 설치 사용할때

전압보다 빠른전류가 유입 실제​ 사용하지않는 불필요한

전류가 더 유입되는것.

: 교류에서 용량성부하(콘덴서용량이포함된부하)에의해 공

급전압위상에비해 소비전류 위상이 앞서는것을 말한다

 

2. 지상이란.

교류 전기에서 유도성 부하(코일성분의 인덕터 용량이 포함된 부하)에 의해 공급 전압 위상에 비해 소비전류 위상이 뒤지는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遲相역률 : 전압보다 전류가 뒤처지(늦은)는 경우다, 즉,전압파형보

다 전류파형이 늦은경우.

: 좀더구체적으로 풀이하면 유도성(유도성부하)기기들을 많

이 사용할경우 전압보다 늦은 전류가 유입되면서 실제사용

하지않는 불필요한전류가 더 유입되는것

: 교류에서 유도성부하(C0il성분인덕터 용량이포함된부하)

에의해 공급전압위상에비해 지전류위상이뒤지는것.

​예를 들어, TV에 200w가 공급되지만 실제로는 196w가 쓰이는데 비율로 따지면 98%, 이를 역률이라합니다. 

역률이 높을 수록 전기효율이 높다.

나머지 4w가 무효한 전력이 되고 이를 유효하게 끌어내는게 역률보상콘덴서 또는 진상 콘덴서라고 합니다.

한국전력에서는 전력손실 방지를 위해

09시부터 23시까지 "지상역률"에 대한 요금을 추가 또는 감액합니다.

90%미달하는경우에는 역률 60%까지 매 1%당 기본요금의 0.2%를 추가하고 

평균역률이 90%를 초과하는 경우는 95%까지 매1%당 기본요금의 0.2%를 감액합니다.

23시부터 다음날 09시까지는 "진상역률"에 대한 요금 추가 또는 감액을 적용합니다.

평균역률이 95% 미달하는 경우에는 미달하는 매 1%당 기본요금의 0.2%를 추가하며

진상역률에 대한 감액은 없습니다.

 

제가 가본 현장은 이렇게 콘덴서가 누유가 되어 교체하였습니다.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하였습니다.

5분이상 방치해두어야 합니다. 아니면 콘덴서에 전기가 남아있어서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접지 방전이나 5분이상 두고 작업을 합니다.

9시부터 23시로 콘덴서가 작동하도록 타이머를 맞춰놓아야 됩니다. 

삼화콘덴서가 좋으나 모양이 요즘에는 둥그렇게 나와서 디지털택것으로 교체하였습니다.

수전용량이 500kw이기에 5%인 25kvar로 해놓습니다. 그래도 역률이 안오를때 병렬로 콘덴서를 또 설치해야 됩니다.

너무 세게 쪼이면 하얀부분이 파손되어 누유가 될수있습니다.

교체완료 후 차단기를 올렸고 이상이 없습니다.

전류도 잘 나옵니다. 

타이머를 반드시 설치해줘야 야간에도 보상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진상역률이 안좋아집니다.

콘덴서는 39A이고, MC는 65A , 차단기는 60A입니다. 전선은 넉넉히 35sq입니다.

728x90
728x90

지난 시간 콘덴서는 수전용량의 1~500kw는 5%비율

~1000kw는 4% 비율의 kvar로 설치한다 하였습니다.

위에 사진은 950kw수전용량의 수용가 입니다. 

950kw x 4% = 38kvar이 나오기에 위와같이 10kvar 4개를 설치하였습니다.

차단기는 10kvar 각각이 위에 콘덴서에 보면 써있듯이 15A정도 되기 때문에 2배인 차단기 30A를 쓰면 됩니다. 

전선은 위에것은 cv선이 아닌데 cv선 16SQ로 하면 72A정도까지는 감당이 되니 충분하겠다.

cv선 6SQ이상으로 하면 된다. 

차단기가 MC가 녹기 전에 먼저 떨어져야 되니 MC가 용량이 더 커야한다. 

여기서는 차단기가 30A인데 50A MC를 사용하였다. 

그외는 벽에 잘 고정한뒤 사용하면 된다. MC 전원공급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9~23시까지 작동되도록 하면 되겠다.

또는 자동 역률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728x90

+ Recent posts